삼각함수 항등식(三角函數 恒等式)은 삼각함수가 나오는 항등식을 말한다. 이 공식들은 삼각함수가 나오는 복잡한 식을 간단히 정리하는 데 유용하며, 특히 치환적분에서 매우 자주 쓰이기 때문에 중요하다.
참고로 아래에서 sin2, cos2 등의 함수는 sin2(x) = (sin(x))2와 같이 정의된다.
목차[숨기기] |
[편집] 삼각함수의 정의에서
[편집] 주기성, 대칭성, 이동(Shifts)
다음 관계는 단위원을 사용하면 쉽게 보일 수 있다.
다음 식은 삼각함수의 주기성을 나타낸다.
다음 식은 삼각함수의 대칭성을 나타낸다.
다음은 삼각함수의 이동 성질을 나타낸다.
또한, 주기가 같지만, 상(phase)이 다른 사인파들의 선형결합은 또 다른 상의 동일주기의 사인파가 된다. 즉, 다음과 같다.
여기서
[편집] 피타고라스 정리
[편집] 덧셈 정리
다음을 증명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오일러의 공식을 이용하는 것이다. 탄젠트 공식은 위의 둘을 결합하여 얻는다.
-
- (좌변에 "+" 기호가 있는 경우, 우변에는 "−" 기호를 사용함.)
여기서
[편집] 두배각 공식
다음 공식은 바로 위 덧셈 공식에서 x = y로 놓으면 바로 얻어진다. 피타고라스의 식을 쓰면 변형을 얻는다. 또한 드 무아브르의 공식(de Moivre's formula)에서 n = 2로 놓아도 된다.
[편집] n배각 공식
Tn이 n번째 체비셰프 다항식(Chebyshev polynomial)일 때,
- cos(nx) = Tn(cos(x))
드 무아브르의 공식(De Moivre's formula):
- cos(nx) + isin(nx) = (cos(x) + isin(x))n
The Dirichlet kernel Dn(x) is the function occuring on both sides of the next identity:
The convolution of any square-integrable function of period 2π with the Dirichlet kernel coincides with the function's nth-degree Fourier approximation.
[편집] 차수 줄이기
두배각 공식의 코사인 공식을 cos2(x) 과 sin2(x)으로 푼다.
[편집] 반각 공식
차수 줄이기 공식의 x/2 를 x 로 바꾸어 넣고, cos(x/2) 과 sin(x/2)으로 푼다.
tan(x/2)는 sin(x/2) / cos(x/2)과 같고, 여기에 분자 분모에 같은 2cos(x/2)을 곱한다. 그러면, 분자는 사인의 두배각 공식에 의해 sin(x)이 되고, 분모는 2cos2(x/2) - 1 + 1 이므로 코사인 두배각 공식을 쓰면 cos(x) + 1 이 된다. 두번째 식은 분자와 분모에 다시 sin(x)를 곱하고, 피타고라스 공식으로 간단히 하면 얻어진다.
[편집] 곱을 더하기로
우변을 덧셈정리로 전개하면 증명된다.
[편집] 더하기를 곱으로
위 식의 x를 (x + y) / 2 로, y 를 (x - y) / 2 로 바꾼다.
[편집] 삼각함수의 역함수
x > 0 이면
만약 x < 0 이면, 등식 우변이 -π/2가 된다.
피타고라스 정리로 부터 다음과 같은 몇가지 항등식을 얻는다.
== 변수 없는 항등식 == ---- ---- ---- ---- 여기에 위키 문법을 사용하지 않을 글을 적어 주세요
리처드 파인만은 소년 시절에 다음의 기묘한 식을 배우고 언제나 기억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식은 다음의 변수를 포함한 일반적인 식의 특수한 경우이다. (x=20˚, k=3을 넣고, sin x = sin (180˚-x)를 이용 우변정리.)
다음 식들은 아마 변수가 있는 일반화된 식을 찾기가 위 보다 어려울 것이다.
21을 택해서 각을 나누면, 도로 표현한 각이 더이상 깔끔하지 않다. 다음 식을 보자.
1, 2, 4, 5, 8, 10 이란 인자를 보면 차츰 답이 드러난다. 이 수들은 모두 21/2보다 작고, 21과의 공약수가 1인 수 들이다. 사실, 위 세가지 예는 더 인수분해되지 않는 원분다항식(cyclotomic polynomial)에 대한 기본정리의 따름정리이다. 코사인값은 다항식의 영(zero)들의 실수부이고, 그들의 합은 21(가장 마지막 예)의 뫼비우스 함수값이다. (식에선 값의 반만이 나타난다.)
[편집] 미적분학
미적분학의 삼각함수에선 각을 라디안(radian)으로 써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다음 관계식들은 성립하지 않는다. 우선 삼각함수가 기하학적으로 정의된 후에 함수들의 미분을 구하기 위해선 우선:
과
을 증명한다. 그리고, 미분의 극한 정의와 덧셈정리를 이용한다. 삼각함수가 테일러 급수로 정의되었다면, 각 항을 미분하여 알아낼 수 있다.
나머지 삼각함수의 미분은 위 항등식과 미분법칙으로 얻어진다.
- <
적분식은 적분표를 참고하라.
'알고리즘 > 게임 수학 / 물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에서 3D 프로그래밍을 다시 공부하고 있습니다. (0) | 2010.07.04 |
---|---|
ODE를 사용한 간단한 게임 (0) | 2007.12.13 |
변환행렬 (0) | 2007.11.11 |
게임 수학 / 물리 2강내용 (0) | 2007.09.14 |
게임 수학 & 물리 (0) | 2007.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