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SELECT * INTO사용법

   SELECT  INTO 구문은 원본은 있고 대상 테이블은 새롭게 생성하려 할 경우 사용합니다.

   TABLE A에서 모든 데이터를 가져와 A_COPY라는 테이블을 생성하여 데이터를 INSERT하고 싶습니다.

   물론 A_COPY라는 테이블은 현재 만들어져있지 않습니다.

 

   SELECT * INTO A_COPY FROM A

 

   위와 같이 하면 A테이블과 같은 컬럼과 데이터를 가지는 A_COPY라는 테이블이 생성됩니다.

   그럼 A테이블의 특정 컬럼만 가져오려면?

 

   SELECT * INTO A_COPY

   FROM (

              SELECT COL1,COL2,COL3.... FROM A 

             ) AS TEMP_TABLE

   위와 같이 하면 A테이블의 특정 컬럼만 가져와서 A_COPY라는 테이블을 생성하여 데이터를 INSERT합니다.

 

2.INSERT INTO SELECT 사용법

   INSERT INTO 구문은 원본과 대상테이블이 모두 있을 경우 사용합니다.

   TABLE A에서 모든 데이터를 가져와 B라는 테이블에 INSERT 하고 싶습니다.

  

   INSERT INTO B SELECT * FROM A

   위에서 TABLE A와 TABLE B는 스키마가 동일해야 합니다.

 

   만일 A보다 컬럼수가 적을 경우에는

   INSERT INTO B SELECT COL1,COL2,COL3 FROM A

   와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http://www.websequencediagrams.com/


출처 : http://www.mimul.com/pebble/default/2010/12/18/1292676840000.html

뭔가 굉장한...


. 개요
 - ROSE 등의 툴로 시퀀스 다이어그램보다 작성 속도 몇배 빠름, 간략하게 작성해서 개발자들끼리 리뷰하는 데 도움 됨
 - 한글 지원
 - 시퀀스에 있는 기본적인 것들 도식화 할 수 있음
 - 사용법이 간략해서 도식화하기 쉬움

2. 샘플 사용 예

A->B: 인증 요청
note left of B: 패스워드 검증
B->A: 인증 응답
B->C: 쿠키 검증
C->D: redirect
note over C,D: 인증 요청 서비스로 이동
note left of C: 3rd 쿠키 검증

3. 시퀀스 다이어그램 결과

출처 : http://smlim.tistory.com/189



간혹 이런 경우가 있다 칼럼명을 알고 있는데 테이블 명을 모를때 

이런 경우 테이블 명을 찾을 수 있는 쿼리문이 있다

select OBJECT_NAME(id) from sys.syscolumns where name='컬럼명'

로그를 취합해서 메일을 그냥 전송하는 스크립트를 짜서 테스트를 할때는 이상없이 

문자가 가지만, 간혹 att00001.bin 으로 본문 텍스트가 씹혀서 가는 경우가 있습니다.


어차피 outlook에서는 이녀석을 누르면 텍스트를 보여주니까 문제는 없지만...


그래도.. 잘못된건 고쳐야 하므로

구글링을 하던중 아래와 같으 것을 발견 하였습니다.


그러니까... 문자열 문제... ?


출처 : http://superuser.com/questions/309530/prevent-nail-from-attaching-my-message-as-a-bin-file



When I pipe a very long change log into nail, I receive a blank email with a .bin attachment namedATT00001..bin in Outlook. The file is 36KB and contains the expected text but double spaced (presumably something to do with line endings). If the messages are brief, this doesn't happen.

How do I prevent Nail from converting my message to an attachment?

User-Agent: nail 11.25 7/29/05
MIME-Version: 1.0
Content-Type: application/octet-stream
Content-Transfer-Encoding: quoted-printable
share|improve this question

I have had this same problem with the son of nail (heirloom mailx) on a Redhat ES 6.1. The problem in the end boiled down to the file not being an ascii, unix standard file (that is LF-only).

I solved this problem by removing the \r characters from the file before sending the mail.

cat logfile | sed 's/\r//' > logfile.new

share|improve this answer
I've long since moved on from the Outlook environment, but imagined it would be something like this given that MS 
is involved. Thanks. – Matt Joiner Jan 24 at 23:28




출처 : http://ccami.tistory.com/19

 

DDNS 설정하는 방법이에요.

ipTIME 공유기를 기준으로 설명하는 것이니, 참고하세요~



ipTIME에서는 기본적으로 DDNS를 제공하고 있어요.

DDNS란? 1) 유동IP를 사용하는 컴퓨터들의 경우에도 쉽게 DNS를 사용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에요.

2) IP를 외우기 힘드니까 쉽게 주소로 해서 외우기 쉽게 하려는 목적이에요.


쉽게말해, 공유기도 하나의 컴퓨터인데 외부에서 공유기를 찾아오는 주소를 설정해 주는 거에요.


예를들어, 네이버 홈페이지를 들어갈때 www.naver.com 으로 주소창에 치면 이동을 하는데

네이버 홈페이지의 IP인 220.95.233.171 를 주소창에 쳐도 네이버에 접속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데 이게 DNS의 역할이에요. 저 IP를 일일히 외워서 사용하기엔 외울 숫자가 너무 많잖아요?


이와같이, 공유기에도 IP가 들어가는데 그 IP에 주소를 할당해서 외부에서 접속하기 쉽게 해주기 위한 목적이에요.

네이버같이 큰 업체는 고정 IP를 사용하지만, 일반 가정집에서는 유동 IP를 사용하기 때문에

자꾸 바뀌는 IP를 위해 DDNS (Dynamic DNS)를 설정해 주는 거구요.






외부에서 공유기에 접속을 하려면 일단 포트를 열어 줘야 하는데,


먼저 공유기 설정창 (기본설정 : 192.168.0.1)으로 가서 환경설정을 열어요.



고급설정 - 보안기능 - 공유기 접속관리로 가서 원격 관리 포트 사용에서 포트를 설정해 주어요.

저 숫자는 아무 숫자나 상관이 없고 여기선 1233으로 하도록 하겠습니다.

간혹 인터넷 업체에서 특정 범위의 포트를 막아놓는 경우도 있으므로 주의해 주세요.





고급설정 - 특수기능 - DDNS 설정 으로 가서 이제 등록을 합니다.

설명에 나와있듯이 호스트이름은 접속할 주소를 설정하는 곳이에요.

설정할 주소.iptime.org 이런 식으로 설정 해줘야 하구요.

한번 설정하면 바꾸려면 ipTIME에다가 문의 해야하니까 신중하게 결정하도록 해요.

사용자 계정(이메일 주소)과 암호는 본인이 설정해 주세요.




추가를 하면 등록중이라고 나오다가 곧 정상 등록이 되었다고 나와요.

혹시 다른 사람과 주소가 중복이 된다 하면 삭제하고 다시 등록해 보세요.


한 주소당 메일주소는 하나씩 되더라구요.

나중에 주소를 바꾸고 싶을때는 ipTIME 고객센터에 전화해서 메일주소를 알려주고 주소를 삭제해달라 해야해요. 안그러면 새 주소가 등록이 안되요.



이렇게 하면 DDNS 등록은 끝 ! 쉽죠...?


 





이제 접속을 해볼 차례에요.


자신의 컴퓨터에서 공유기 환경설정에 들어갈 때 192.168.0.1로 해서 들어간 것을

외부에서도 그대로 들어갈 수 있는데요.


내부 네트워크에서는 설정한 주소.iptime.org만 해도 접속이 가능한데

외부 네트워크에서는 포트번호도 같이 쳐줘야 해요.

설정한 주소.iptime.org:1233 이런식으로요.


많은 포트(길) 중에 1233번이라는 포트(길)만 열어준 거기 때문에 그 길을 통해서 공유기로 들어가야 하거든요.



이제 아무데서나 인터넷만 연결이 되 있으면 집에있는 공유기에 접속을 할 수 있어요 !



+ Recent posts